2024 미국 기준금리 뜻 발표일 인상 인하 효과(+Fed 연준 FOMC 뜻 기능 일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채권, 코인 등 자산 투자시 가장 유의깊게 살펴야할 매크로 지표인 미국 기준금리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미국 연준, FOM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는 시장의 유동성에 큰 영향을 주는 주요 지표로, 결정될 때마다 자산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에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기준금리 뜻 발표일, 인상 인하 효과 및 Fed 연준 FOMC 뜻 역할 일정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볼 예정이오니,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미국 연준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설명에 앞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인 연준, FOMC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Fed 연준 뜻

미국 연준(Fed, United States Federal Reserve System)은 미합중국 연방준비제도의 줄임말로,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입니다.

미국 연준은 1913년 12월 23일 미국 의회를 통과한 연방준비법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미국 연준은 타 나라와는 달리, 표면상 민간 기업인 12개의 연방준비은행과 의장 및 이사 7명(의장 1, 부의장 2, 이사 4)으로 이루어진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로 구성됩니다.

현 연준 이사회 멤버 확인 바로가기(Fed 홈페이지)

연준 이사회(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는 연준 내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대통령이 임명, 상원에서 승인하는 7명의 이사는 2년마다 1명씩 교체되며, 의장과 부의장은 4년 임기로 임명됩니다.

연준은 정부의 철저한 독립기관으로, 금리 결정 등 통화정책은 정책과 관계없이 행사하고 있어, 연준 의장은 세계 경제에 매우 막대한 영향력을 가집니다.

연준 이사회 본부는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제롬 파월’으로 2018년부터 역임하고 있습니다.

  • 미국 연준(미합중국 연방준비제도):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
  • 설립일: 1913년 12월 23일
  • 주요 기능: 기준 금리 등 통화 정책 결정, 달러 발행
  • 12개의 연방준비은행과 7명의 연방준비제도 이사회로 구성
  • 현 의장: 제롬 파월(2018년~)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출처: Bloomberg

연준 기능 역할

연준의 주요 기능, 역할은 ‘통화 정책 수립‘과 ‘미국 달러 발행‘입니다.

연준은 해당 두가지 기능을 통해 시장의 유동성을 조정하며, 대표적으로 ‘기준 금리 조정’ 또는 ‘미국 국채 매입량 조정’ 등 방법을 이용합니다.

미국 달러 발행은 미국 국채를 담보(1:1 대응)으로 발행하며, 연준이 국채를 매입한다는 의미는 이에 대응하는 달러의 발행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시장 통화량, 유동성이 많아짐을 의미합니다.

연준은 시장의 유동성 조절을 통해 미국의 최대 고용과 적정 수준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주목적으로 하여 미국의 건전한 경제 성장을 도모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준은 기준 금리 결정 등 통화 정책 수립에 실업률 등 고용지표와 CPI, PPI, PCE 등 물가 관련 지표를 참고합니다.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등 고용지표 상세히 알아보기

미국 물가 관련 지수 CPI, PPI 상세히 알아보기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워싱턴에 위치한 연준 본부

출처: 위키피디아

FOMC 뜻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12명으로 구성되는 연방준비제도 산하 위원회로,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입니다.

연준의 이사 7명과 지역별 연방준비은행 총재 5명으로 구성됩니다.

FOMC는 정기적으로 약 6주 간격으로 연 8회의 정례회의를 갖고,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FOMC 회의 모습

출처: 아주경제

FOMC 일정

FOMC 일정은 매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1월, 3월, 5월, 6월, 7월, 9월 11월, 12월에 개최됩니다.

신규 업데이트되는 FOMC 일정은 Fed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아래 링크 참조).

신규 업데이트 FOMC 일정 확인 바로가기(Fed 홈페이지)

2024년 FOMC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의명FOMC 일정
2024 1월 FOMC 정례 회의1/30 ~ 1/31
2024 3월 FOCM 정례 회의3/19 ~3/20
2024 4/5월 FOCM 정례 회의4/30 ~ 5/1
2024 6월 FOCM 정례 회의6/11 ~ 6/12
2024 7월 FOCM 정례 회의7/30 ~ 7/31
2024 9월 FOCM 정례 회의9/17 ~ 9/18
2024 11월 FOCM 정례 회의11/6 ~ 11/7
2024 12월 FOCM 정례 회의12/17 ~ 12/18

미국 기준금리(Base Interest Rate)

본 글의 주제인 미국 기준금리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 뜻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대표가 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일반 은행들끼리 단기로 돈을 빌릴 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기준금리가 중요한 이유는 그 나라의 화폐 유동성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 은행에서 B은행으로부터 기준 금리로 돈을 빌려 일반 가계와 기업에게 대출을 해준다면, 약간의 마진을 더해 기준 금리보다 더 비싼 금리로 대출을 해줄 것입니다.

따라서, 기준금리가 낮으면 낮을수록 가계와 기업에서 대출을 더 많이 할 것이고 이에 따른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통화량)가 많아지게 됩니다.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화폐의 가치는 감소하게 되고 자산 가격 상승 및 유동성의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 유동성 뜻: 자산이 현금으로 즉각 전환할 수 있는 정도(시장에 풀려있는 유동자산의 수준)
  • 통화량 뜻: 시중 유통되고 있는 화폐 총량

유동성 및 통화량 뜻, 보는법 상세히 알아보기

최신 업데이트되는 미국 기준금리는 FRED(Federal Reserve Back)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아래 링크 참조).

최신 업데이트 미국 기준금리 상세히 알아보기

출처: FRED(Federal Reserve Bank)

기준금리 발표일

기준금리는 매년 8회 이어지는 FOMC 정례회의 2번째 날에 발표되며, 한국 시간 기준 다음날 새벽 3~4시 쯤 확인 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준금리 발표일은 FOMC 정례회의가 개최되는 1월, 3월, 5월, 6월, 7월, 9월 11월, 12월에 있으며, FOMC 정례회의 일정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신규 업데이트 FOMC 정례회의 일정 확인 바로가기(Fed 홈페이지)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출처: Fed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기준금리 인상 인하는 시장의 유동성 공급 또는 유동성 회수를 결정하게 됩니다.

기준금리 인상시 가계 및 기업의 대출 이자 증가 및 대출 건수 감소에 따라 시장 유동성이 감소되며, 소비 및 투자 여력이 감소하게 되어 경기가 위축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을 때 시장의 유동성 감소를 통한 수요 위축을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반대로 기준금리 인하시에는 시장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소비 및 투자 여력 증가로 자산 가격 상승 및 경기 부양 효과가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는 경기가 침체되어 경기 부양이 필요할 때 시행됩니다.

미국 기준금리 뜻, 미국 기준금리 발표일,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인하 효과, 연준 뜻, FOMC 뜻, 연준 기능, FOMC 일정
미국 기준금리, 실업률 상관관계

출처: spglobal

기준금리와 환율, 국채금리 상관관계

기준금리는 환율 및 채권 금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금리는 통화를 보유하고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를 의미하기 때문에 금리 상승시 통화의 수요가 상승하여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준 금리 상승시 그 나라의 통화 가치(달러 환율 등)은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기준금리는 국채금리에도 영향을 줍니다.

국채금리는 국채 발행시 경매와 유사한 입찰 방식으로 최종 금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에 따라 금리가 결정됩니다.

기준금리 상승시 가장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예금 금리도 같이 상승하기 때문에, 국채 투자에 대한 위험성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금리를 요구하므로 국채 금리도 상승하게 됩니다.

image 119
미국 2년물 국채금리와 기준금리 추이

출처: 연합인포맥스

결론

이상으로 미국 기준금리 뜻 발표일 인상 인하시 효과와 미국 연준 FOMC 뜻 일정 기능 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미국을 대표하는 금리 수준을 의미하며, 미국 내 일반 은행들끼리 단기로 돈을 빌리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기준금리가 높을수록 가계 및 기업의 대출 여력이 감소하여 시장에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른 경기 위축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연준(미합중국 연방준비제도)은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으로 기준 금리 결정 등 통화 정책 조정을 통해 시장 유동성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FOMC는 연준 산하 금융 정책을 결정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으로, 연 8회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 금리를 결정합니다.

기준금리는 FOMC 정례회의 2번째 날 발표되며, 한국 시간 기준 다음날 새벽 3~4시 쯤 확인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연준 기준금리 결정 주요 물가 참고지표 PCE 상세히 알아보기

연준 기준금리 결정 주요 고용 참고 지표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상세히 알아보기

경제성장률 지표 GDP GNP 차이, 뜻, 계산법, 순위 상세히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