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 실질 1인당 GDP GNP 차이, 뜻, 계산법, 디플레이터, 각 나라별 순위 보는법 총 정리

안녕하세요!

우리는 국내를 포함 여러 나라 시장에 상장된 주식 투자를 할 때, 국가의 경제성장률 지표를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경제성장률에 따라 그 나라의 통화정책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유동성 변동 및 주가 향방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경제성장률 지표인 1인당 GDP GNP 차이, 뜻, GDP 디플레이터 계산법, 각 나라별 순위, 성장률 보는 법을 총 정리해볼 예정이오니,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GDP GNP 뜻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GDP는 Gross Domestic Proudct의 약자로 국내총생산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 화폐 가치를 의미합니다.

GDP는 생산활동이 이루어진 장소를 기준으로 하는 경제 지표로, 생산 주체의 국적에 상관없이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생산물은 GDP에 포함됩니다.

GDP는 그 나라의 경제가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경제 수준이 팽창하고 있는지 또는 생산 감소로 인해 위축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국가 경제의 건전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GDP 계산법은 지출 접근법(Expenditure Approach), 소득 접근 방식(Income Approach), 부가가치 접근 방식(Value Added Approach) 방식 이렇게 세가지가 있으며, 세가지 접근 방식 모두 이론적으로 동일한 GDP 수치가 산출됩니다.

지출 접근법은 한 나라에 지출된 모든 돈의 합계이며, 소비(가계 지출), 투자(기업 자본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수출액-수입금)을 포함합니다.

소득 접근 방식은 가계와 기업이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하며, 직원 임금, 임대료(부동산 소득), 이자(대출 소득), 기업 이익, 생산 조정(감가상각 및 사업세)을 포함합니다.

부가가치 접근 방식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각 생산 단계에서 부가되는 가치를 합산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최종 제품의 가격만을 포함하는 방법입니다. 판매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더한 다음 중간재의 가격을 제외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500원의 빵을 만드는데 밀 100원, 밀가루 100원이 들었다면 총 판매가격인 700원에서 중간재인 밀, 밀가루 가격 200원을 제외하고 500원만 GDP에 추가하는 식입니다.

  • GDP(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 생산 주체의 국적 상관 없음
  • GDP 계산법 1. 지출 접근법: 소비 + 투자 + 정부 지출 + 순수출
  • GDP 계산법 2. 소득 접근 방식: 직원 임금 + 임대료 + 이자 + 기업 이익 + 생산 조정
  • GDP 계산법 3. 부가가치 접근 방식: 총 생산품 가격 – 중간재 가격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Peakframworks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Peakframworks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GNP는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자로,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 포함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를 의미합니다.

GDP와는 다르게 생산주체의 국적이 중요하며, 국내외 거주 자국민이 생산한 생산물을 모두 포함합니다.

국경보다는 국적에 더 초점을 둔 경제성장률 지표로, 국내 외국인 생산분은 제외하는 지표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GNP보다는 GDP를 주요 경제성장지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국제화에 따른 외국인 고용 수준이 높아지면서, GDP가 국내 경제 상황을 더 잘 대변하기 때문입니다.

GNP와 GDP의 계산 방식은 동일하며, 국내 기준 data가 아닌 국적 기준 data를 활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 GNP(Gross National Product): 한 나라 국적을 가진 생산주체가 생산한 모든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 생산 국가는 상관없음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thebalancemoney

1인당 GDP GNP 뜻

1인당 GDP GNP는 GDP와 GNP를 국민수로 나눈 수치를 의미합니다.

GDP와 GNP는 그 국가의 모든 생산량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구수가 높으면 순위가 높아집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각 개인이 얼마나 많은 생산량을 만들어내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그 국가의 인구수를 나눠 개인별 생산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인당 GDP GNP가 높다는 의미는 각 개인의 생산량이 높다는 의미이며, 그에 따른 소득, 생활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인당 GDP: GDP / 그 나라의 인구수
  • 1인당 GNP: GNP / 그 나라의 인구수

명목 실질 GDP GNP 차이

다음으로, GDP, GNP 수치를 보다보면, 확인할 수 있는 실질 GDP GNP와 실질 GDP GNP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명목(Nominal) GDP GNP는 당해년도 물가와 당해년도 생산량을 곱하여 계산되는 수치로 물가 변동을 모두 반영합니다.

실질(Real) GDP GNP는 기준년도 물가와 당해년도 생산량을 곱하여 계산하는 수치로 물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생산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예를 들어, 10년 간 짜장면 가격이 1,000원에서 5,000원으로 올랐고, 판매량이 100개로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명목 GDP, GNP는 물가를 반영하여 5,000원 * 100으로 계산하여 GDP가 5배가 올랐다고 계산합니다.

반면, 실질 GDP GNP는 물가를 고정하여 1,000 * 100으로 그대로 계산되므로 GDP 상승이 없었다고 계산하므로 생산량 변동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 명목(Nominal) GDP GNP = 당해년도 물가 * 당해년도 생산량, 물가 변동 반영
  • 실질(Real) GDP GNP = 기준년도 물가 * 당해년도 생산량, 물가 반영 없음

GDP GNP 디플레이터란?

실질 GDP GNP과 명목 GDP GNP 수치를 이용하면 모든 물건의 가격이 얼마나 상승했는지는 파악하는 물가 지수인 디플레이터라는 수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GDP GNP 디플레이터는 자국민 or 국내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 지수입니다.

GNP GDP 디플레이터 계산식은 (명목 GDP or GNP / 실질 GDP or GNP) * 100입니다.

  • GNP GDP 디플레이터: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 지수
  • GNP GDP 디플레이터 계산식: (명목 GDP or GNP / 실질 GDP or GNP) * 100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Simpleinvestment

GDP GNP 차이 요약

본 글에서 설명드린, GDP GNP 차이를 요약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DP
(국내총생산)
GNP
(국민총생산)
의미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
모든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모든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
주요 특징생산된 나라의 국경이 중요
생산주체의 국적 상관없음
생산 주체의 국적이 중요
생산된 나라 상관없음
계산법지출 접근법
소득 접근 방식
부가가치 접근 방식
지출 접근법
소득 접근 방식
부가가치 접근 방식

GDP GNP 순위

각 나라별 GDP GNP 순위를 확인해보겠습니다.

’24년 GDP 순위는 미국이 1위, 그 뒤를 이어 중국, 독일, 일본, 인도가 뒤를 잇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4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4년 1인당 GDP 순위는 룩셈부르크가 1위, 그 뒤를 이어 아일랜드, 스위스, 노르웨이가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31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신규로 업데이트되는 나라별 GDP, 1인당 GDP 순위는 IMF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나라별 GDP 순위 확인 바로가기(IMF)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IMF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IMF

최근 GNP 순위를 확인해본 결과, GNP는 GDP 대비 중요도가 높지 않은 분류되어 집계가 빠른 시일 내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집계는 2022년에 진행되었으며, ’22년 기준 GNP 순위는 미국이 1위이며, 그 뒤를 이어 중국, 일본, 독일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1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최신 업데이트되는 나라별 GNP 순위는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최신 국가별 GNP 순위 확인하러 가기

GDP GNP 차이, GDP GNP 뜻, GDP 디플레이터, GDP GNP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출처: Macrotrends

결론

이상으로, 1인당 GDP GNP 차이, 뜻, 순위, 명목 실질 GDP GNP 차이, 디플레이터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GDP는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 포함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를 의미하며, GNP는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 포함 생산물의 총 화폐 가치를 의미합니다.

GDP와 GNP의 가장 큰 차이는 한 나라의 국경 내의 생산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또는 생산 주체의 국적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의 차이입니다.

명목(Nominal) GDP GNP는 당해년도 물가와 당해년도 생산량을 곱하여 계산되는 수치로 물가 변동을 모두 반영하며,실질(Real) GDP GNP는 기준년도 물가와 당해년도 생산량을 곱하여 계산하는 수치로 물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생산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명목 GDP GNP를 실질 GDP GNP로 나눠서 계산되는 GNP GDP 디플레이터 수치는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 지수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GDP GNP 순위는 미국, 중국, 일본, 독일이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10위 권 수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페이스북 메타 2024년 최초 지급 메타 배당금 상세히 알아보기

나스닥 3배 레버리지 ETF TQQQ 수익률, 배당 정보 상세히 알아보기

토스 뱅크 외화 통장: 평생 환전 무료, 해외 결제 수수료 0원 혜택 받는법 상세히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