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총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고용 지표 2가지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업률과 비농업고용지수는 매월 발표되는 미국의 고용보고서에서 헤드라인으로 발표되는 지수로 Fed가 미국의 경제상황을 판단하고 금리를 결정하는데 참고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본 글에서는 미국 실업률, 비농업지수의 뜻, 발표일, 보는법, 계산 공식 등 상세히 정리할 예정이오니,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미국 고용 지표

미국 노동 통계청(Bureau of Labor Statistics)은 매달 고용보고서를 발표합니다.

미국 노동통계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고용보고서는 미국의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평균 임금 인상률 등 현재 미국의 고용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들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고용보고서 내 고용 관련 지표들은 Fed(미국 연준)에서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참고하는 지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달 고용보고서 발표일 때마다 주식, 채권, 코인 등 자산들이 큰 변동성을 보이므로, 투자자 분들께서는 고용 지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여 향후 투자 대응에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미국 노동통계청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뜻

실업률(Unempolyment rate)이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수입을 하고 있거나 취업을 위해 구직활동 중에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그 외 사람은 비경제활동인구라고 정의합니다.

쉽게 말해, 실업률은 일을 하고 있거나, 일을 하고 싶은 사람들 중에서 구직을 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업률 계산 공식

실업률 계산 공식은 앞서 설명드린 실업률의 의미를 공식에 대입하면 됩니다.

  • 실업률 계산 공식: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실업률(%) = [실업자 / (취업자 + 구직 활동 중인 실업자)] * 100

실업률 계산 공식에 들어가는 실업자의 기준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ILO(국제노동기구)에서 다르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OECD에서는 최근 4주 간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했으나 취업을 하지 못한 사람, ILO에서는 최근 1주 간 구직활동을 했으나, 취업을 하지 못한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잡코리아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뜻

비농업고용지수(Nonfarm Payrolls)는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인구를 제외한 전월 대비 고용인구수 증감을 의미합니다.

비농업고용지수에서 농축산업을 제외하는 이유는 계절에 따른 변동이 심하고, 가족 단위로 일하는 경우가 많아 노동시장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고용인구수의 증가는 미국의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를 견인하는 동력이 되며, 비농업고용지수가 높게 유지된다는 것은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 비농업고용지수(Nonfarm Payrolls):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인구 제외 고용인구수 변화 정도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Plus 500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금리 상관관계

미국의 실업률이 낮고 비농업고용지수가 높게 유지되면, 미국의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고용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면 임금 상승 압력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연준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통화 정책을 통해 적정 수준의 실업률과 고용지수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인플레이션 뜻 상세히 알아보기

연준은 일반적으로 고용이 너무 강하면 금리를 높여 유동성을 회수하고, 고용이 너무 약하면 금리를 낮춰 유동성을 공급하므로, 실업률은 금리와 반비례, 비농업고용지수는 금리와 비례하는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EBN 산업경제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시간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은 고용보고서 발표되는 매월 첫째 주 금요일이며,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발표 시간은 하절기(3월~10월)에는 한국시간 기준 21시 30분, 동절기(11월~2월)에는 22시 30분입니다.

  •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시간: 매월 첫째 주 금요일, 21시 30분(3~10월) 또는 22시 30분(11월~2월)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Investing.com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보는법

미국실업률 및 비농업고용지수은 발표일에 미국 노동통계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노동통계국 홈페이지의 헤드라인의 고용보고서에서 pdf을 선택하시면 금월 발표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상세 내용을, Charts를 선택하시면 현재까지의 추이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미국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추이 확인하러 바로가기(미국 노동통계국)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image 121

출처: 미국 노동통계국

실업률과 비농업고용지수 상세 내용이 아닌 단순 발표되는 수치와 추이가 필요하시다면 Investing.com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아래 Investing.com 실업률 및 비농업고용지수 링크를 공유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최신 업데이트 미국 실업률 확인하러 바로가기(Investing.com)

최신 업데이트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확인하러 바로가기(Investing.com)

미국 실업률,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 뜻, 계산 공식, 금리 상관관계

출처: Investing.com

결론

이상으로, 미국 고용 지표인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뜻, 계산 공식, 발표일, 시간, 금리와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구직 활동 중인 실업자) 중 실업자의 비율을 의미하며, 비농업고용지수는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인구를 제외한 전월 대비 고용인구수 변화를 의미합니다.

실업률은 낮을수록, 비농업고용지수는 높을수록 고용시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경제 수준 및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연준의 통화 정책에 큰 영향을 줍니다.

연준은 일반적으로 고용이 너무 강하면 금리를 높여 유동성을 회수하고, 고용이 너무 약하면 금리를 낮춰 유동성을 공급하므로, 실업률은 금리와 반비례, 비농업고용지수는 금리와 비례하는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미국 실업률 및 비농업고용지수 발표일은 매월 첫째 주 금요일이며, 발표 시간은 하절기(3월~10월)에는 한국시간 기준 21시 30분, 동절기(11월~2월)에는 22시 30분입니다.

미국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는 미국 노동통계국 또는 인베스팅닷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 금 ETF 5종 비교: GLD, GLDM, IAU, IAUM, SGOL ETF 상세히 알아보기

미국 상무부 발표 물가 지수, PCE CPI 차이 상세히 알아보기

Inflation 인플레이션 뜻, 원인, 투자 대처법 상세히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