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주식 수수료 세금 총 정리: 주식 1,000만원 거래시 비용은 최대 얼마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금까지 포스팅하면서 지속 설명드렸던 국내 해외 주식 수수료, 세금을 총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주식 거래시 발생되는 비용인 수수료, 세금은 잘 알고 활용할 수 있다면, 수수료가 낮은 증권사 선택, 세금 구간을 잘 확인하여 매매하는 전략 등으로 많은 돈을 세이브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국내 해외 주식 거래시 발생되는 수수료, 세금을 요약하여 설명드릴 예정이오니, 참고하셔서 주식 수수료, 세금을 세이브할 수 있는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거래시 발생되는 국내 주식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은 매수시 증권사 수수료(위탁거래수수료, 증권사 별로 상이) + 유관기관 수수료 0.004%가 발생하며, 매도시 증권사 증권사 수수료(위탁거래수수료, 증권사 별로 상이) + 유관기관 수수료 0.004% + 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세 0.20%가 발생합니다.

2024년 가장 저렴한 증권사 기준 국내 주식 증권사 수수료는 0.0036396%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국내 주식 수수료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주식 수수료 가장 저렴한 증권사 확인 바로가기

  • 국내 주식 매수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0.0036396% + 유관기관 수수료 0.004% = 0.0076396%
  • 국내 주식 매도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0.0036396% + 유관기관 수수료 0.004% + 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세 0.20% = 0.2076396%
  • 국내 주식 수수료 합계: 매수금액 * 0.0076396% + 매도금액 * 0.2076396%

※ 증권거래세: 증권거래소를 통해 거래되는 주식의 양도가 기준으로 부과하는 세금, 주식 거래시 발생되므로 수수료에 포함함, 2025년 0.15%로 감면 예정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출처: 한국투자증권

해외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거래시 발생되는 해외 주식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주식은 환전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매수시 환전수수료(증권사별 상이), 증권사 수수료(증권사별 상이)가 발생하며, 매도시 환전수수료(증권사별 상이), 증권사 수수료(증권사별 상이), 증권거래세(나라별 상이) 가 발생합니다.

증권거래세는 미국 0.0008%, 중국/홍콩 0.05~0.1%, 유럽 0~1.0%, 베트남 0.1% 등입니다.

증권거래세 나라별 상세히 알아보기(대신증권)

2024년 기준 증권사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곳 기준 0.03%, 환전수수료는 일반적으로 95%의 환율우대(증권사 환율 스프레스 1% 기준 0.05% 부과)를 주고 있기때문에 반영해서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거래세는 미국 기준을 적용하였습니다.

해외 주식 수수료 가장 저렴한 증권사 확인 바로가기

환전수수료 가장 저렴한 증권사 확인 + 환율우대 계산 방법 바로가기

  • 해외 주식 매수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0.03% + 환전수수료 0.05% = 0.08%
  • 해외 주식 매도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 0.03% + 환전수수료 0.05% + 증권거래세 0.0008%(미국 기준) = 0.0808%
  • 해외 주식 수수료 합계: 매수금액 * 0.08% + 매도금액 * 0.0808%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출처: 삼성증권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국내 주식으로 돈을 벌었을 때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 시세차익 세금

국내 주식 시세차익 세금은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이상, 시세차익에 대한 세금은 ‘비과세’ 입니다.

대주주 요건 충족시 시세차익 3억 이하 20%, 3억 이상 25%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 대주주 요건: 종목단 50억 이상 or 코스피 종목 1%, 코스닥 종목 2% 이상 보유

국내 주식 배당금 세금

국내 주식의 배당금에 대한 세금은 15.4%(배당소득세, 소득세 14% + 지방세 1.4%)입니다.

또한, 국내 주식 배당금으로 발생한 수익은 국내 주식 시세차익와 다르게 금융소득에 해당되어, 연간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납부 대상이 됩니다.

연간 2,000만원 이상의 배당금이 발생했다면 납부 세금 계산법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2,000만원 이상 배당소득세 계산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출처: 국세청

해외 주식 세금

해외 주식으로 돈을 벌었을 때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외 주식 시세차익 세금

해외 주식 시세차익 세금은 연간 250만원 초과분에 대해 22%(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입니다.

해외 주식으로 1000만원을 벌었다면 250만원을 제하고 750만원의 22%인 165만원을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 팁으로, 해외 주식 장기투자하시는 분들은 동일 가격 매수/매도를 통해 매년 250만원만 시세 차익을 발생시킨다면 매년 250만원의 세금을 절세 가능합니다.

해외 주식 시세차익은 금융소득에 포함되지 않아 종합소득세 부과에 대해서는 자유롭습니다.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출처: 대신증권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은 나라별로 상이합니다.

미국은 현지 소득세 15%를 지불하며, 일본은 현지 15.315%, 중국은 현지 10% + 국내 4.4%를 부과합니다.

해외 주식 배당금 또한 국내 주식 배당금과 마찬가지로 금융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배당금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나라별 상세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은 아래 표 참고 바랍니다.

해외 주식 수수료, 국내 주식 수수료, 해외 주식 세금, 국내 주식 세금

출처: 대신증권

국내 해외 주식 수수료 세금 요약

국내 해외 주식 수수료, 세금에 대해 요약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주식 거래 수수료는 최저 비용 기준, 매수시 0.0076396% 매도시 0.2076396%의 비용이 발생하며, 시세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입니다.

국내 주식 배당금에 대해서는 15.4%의 세금이 부과되며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해외 주식 거래 수수료는 최저 비용 및 미국 기준, 매수시 0.08%, 매도시 0.0808%의 비용이 발생하며, 시세차익에 대해서는 250만원 초과분에 대해 22%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은 나라마다 상이하며, 국내 주식 배당금 세금과 동일하게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내 주식 1,000만원 투자, 1000만원 수익 발생: 매수 수수료 764원 + 매도 수수료 41,528원 + 시세차익 세금 0원 = 42,292원
  • 해외 주식 1,000만원 투자, 1,000만원 수익 발생: 매수 수수료 8,000원 + 매도 수수료 16,160원 + 시세차익 세금 1,650,000원 = 1,674,160
항목비용(최저 비용 기준)비고
국내 주식 거래 수수료 매수금액 * 0.0076396%
매도금액 * 0.2076396%
국내 주식 시세차익 세금비과세대주주 조건 미충족 조건
국내 주식 배당금 세금15.4%
(소득세 14% + 지방세 1.4%)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대상
해외 주식 거래 수수료 매수금액 * 0.08%
매도금액 * 0.0808%
해외 주식 시세차익 세금22%
(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250만원까지 비과세
해외 주식 배당금 세금나라마다 상이
(미국: 15%, 일본: 15.315%,
중국: 14.4% 등)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대상

결론

이상으로 국내 해외 주식 수수료 세금에 대해 총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 주식이 매수시에는 해외 주식 대비 수수료가 상대적 저렴하나, 매도시에는 높은 증권거래세로 더 높은 수수료가 발생하였습니다.

시세 차익에 대한 세금은 국내 주식은 비과세이며, 해외 주식은 250만원 초과분에 대해 22%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 배당금은 15.4%, 해외 주식 배당금은 나라마다 상이하였으며 둘다 금융소득에 해당되어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연복리 15% SCHD QQQ 조합 투자 전략 상세히 알아보기

국내 해외 ETF 세금 비교 결과 상세히 알아보기

배당소득세 2,000만원 기준 계산법 상세히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