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ETF 뜻, 장단점, ETF 주식 차이점 등 ETF가 무엇이고, 왜 투자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이 블로그를 통해 국내 투자자 분들께서 많이 투자하시는 ETF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ETF에 대한 글들을 쓰다보니, 문득 투자를 막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ETF라는 개념이 생소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한번 정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ETF에 대한 모든 것들을 정리할 예정이오니, ETF 투자를 고려하시는 투자 초보자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연 수익률 50% 이상 나만의 주식/코인 퀀트 투자 전략 만들기에 도전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퀀터스) 참고 부탁드립니다(퀀트 투자 뜻, 하는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목차
ETF 뜻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어로 상장 지수 펀드를 의미하며, 말 그대로 특정 지수의 가격을 추종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일반적인 펀드 상품과 다르게, ETF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어 높은 접근성을 가집니다.
ETF는 주식, 원자재, 채권 등 자산으로 구성되며, 추종하는 자산에 따라 수익률 및 배당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에 투자하면 우리는 S&P500 지수에 포함된 약 500개의 미국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의 수익률, 배당을 얻을 수 있습니다.
ETF 장점 단점
다음으로, ETF 장점 단점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TF 장점
- 소액 분산 투자 가능: 보통 여러 주식에 분산투자를 하려면 개별 주식의 주당 가격이 높기 때문에, 많은 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ETF 투자시 소액으로 시장 또는 특정 업종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용이한 자산 배분: ETF를 활용하면 국내 주식 뿐 아니라 미국이나 중국 주식, 채권, 금, 원유 등 다양한 자산에 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몇가지 ETF를 매수하는 것으로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인버스 투자 가능: ETF를 활용하면 선물 거래를 직접하지 않고 레버리지(2배, 3배 변동성 투자)/인버스(지수 하락시 수익 발생)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 투자는 선물 거래와 동일하게 높은 위험성을 가집니다.
- 개별 종목 관리 용이: ETF 운용사에서 ETF 편입/제외 종목을 관리하기 때문에 별도 개별 종목 관리에 시간을 소모하지 않아도 됩니다.
ETF 단점
- 괴리율 발생: ETF는 시차에 의한 거래 시간 차이, 휴장일, 거래량 부족 등으로 NAV(순자산가치)와의 괴리율이 발생합니다. 괴리율에 의해 ETF 가격이 추종 자산 직접 투자시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종목 선택 불가: 투자자가 ETF 내 종목 종류 및 비중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의 자유도 측면에서는 개별 주식 투자보다 열세합니다.
- 운용보수: ETF 또한 펀드의 일종이기 때문에 보유 기간에 따라 ETF 운용사에 일정 수준의 운용보수를 지불해야 합니다. 참고로 운용보수는 주가에 자동으로 반영되어 차감됩니다.
요약해보면, ETF는 다양한 형태의 자산에 투자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자유도가 낮고 운용보수가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따라서, 운용보수를 지불하더라도 시장 전체 또는 주식 외 자산에 쉽게 투자하고자 하신다면 ETF 투자를 추천드리며, 반대로 원하는 소수의 종목 또는 자산에 집중 투자하고자 하신다면 ETF 투자를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출처: TIGER ETF
ETF 주식 차이점
ETF 장점 단점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주요 ETF 주식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분산 투자가 기본: 주식형 ETF는 기초지수로 최소 10종목 이상의 주식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ETF 투자 자체가 분산 투자가 기본적으로 설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낮은 주가 변동성: 레버리지 상품을 제외한다면, ETF는 분산투자가 기본이기 때문에 개별 주식 투자보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낮아 투자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운용보수 및 세금 차이: 주식 투자는 운용 보수가 없으나, ETF는 운용보수가 발생합니다. 또한 시세 차익, 배당금에 대한 세금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아래 링크 참조).
- 낮은 상장폐지 위험성: ETF는 다양한 종류에 주식에 투자하기때문에, 개별 주식 대비 상장폐지에 대한 위험성이 매우 낮습니다.
- 투자 대상의 다양성: ETF는 주식 외에도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 레버리지/인버스 투자 가능: ETF를 활용하면, 주식 투자로 할 수 없는 레버리지/인버스 투자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비교 항목 | ETF | 주식 |
분산 투자 여부 | O | X |
투자 대상 다양성 | O | X |
레버리지/인버스 투자 가능 | O | X |
주식시장 거래 여부 | O | O |
결제일 | +2 영업일 | +2 영업일 |
운용보수 | O | X |
매매 차익 세금 | 국내 상장 국내 주식형: 0%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15.4% 해외 상장: 22% (250만원 공제) | 국내 주식: 0% 해외 주식: 22% (250만원 공제) |
배당금 세금 | 15.4% | 미국 기준 15% (나라마다 상이) |
ETF 종류 및 추천
국내 ETF는 운용사를 의미하는 Brand가 먼저 나오고, 추종 지수명, 투자 방식 등이 뒤에 붙습니다.
예를 들어, S&P500 지수 2배 레버리지로 투자하는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ETF는 ‘TIGER 미국S&P500레버리지’ 입니다.
국내 ETF 주요 운용사 brand 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KODEX: 삼성자산운용
-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 KB자산운용
- ACE: 한국투자신탁운용
- KOSEF: 키움투자자산운용
- PLUS: 한화자산운용
- SOL: 신한자산운용
국내 ETF의 종류 및 총 보수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서 확인가능하시며, 투자를 원하는 지수를 펀드명에 검색하신 후, 운용 총 보수가 가장 낮은 ETF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해외주식/자산형 국내 상장 ETF는 해외 상장 ETF보다 총 보수가 더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연금 계좌/ISA를 활용 투자하는 경우와 같이 국내 ETF를 꼭 투자해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해외 주식/자산 ETF는 해외 상장 ETF에 투자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제가 추천드리는 해외 상장 ETF 조합은 IVV(S&P500 지수 추종), QQQM(나스닥 100 지수 추종), TLT(미국 장기 국채), GLD(금 현물) 조합입니다.
SPY IVV VOO 중 최고의 S&P500 지수 추종 ETF는?
주요 미국 상장 ETF 티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3X | -2X | -1X | 기초 자산 | +1X | +2X | +3X |
SPXU SPXS | SDS | SH | S&P500 | SPY VOO IVV | SOO | UPRO SPXL |
SQQQ | QID | PSQ | 나스닥100 | QQQ QQQM | QLD | TQQQ |
SDOW | DXD | DOG | 다우 존스 | DIA | DDM | UDOW |
SRTY TZA | TMW | RMW | 러셀2000 | IMW | UWM | URTY TNA |
단기채 | SHY VGSH VCSH | |||||
TYO | PST | TBX | 중기채 | IEF | UST | TYD |
TMV | TBT | TBF | 장기채 | TLT | UBT | TMF |
GLL | DGZ | 금 | IAU GLD | UGL | ||
ZSL | 은 | SLV | AGQ | |||
SCO | 원유 | USO | UCO | NRGU | ||
SOXS | SSG | 반도체 | SOXX SMH | USD | SOXL |
ETF 투자방법
ETF 투자방법은 MTS에서 주식과 같이 ETF명을 검색하시고, 원하는 가격(지정가 또는 시장가)에 매수 진행하면 됩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삼성증권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삼성증권 MTS에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인 ‘TIGER 미국S&P500’과 미국 상장 ETF인 ‘IVV(iShares Core S&P500)’를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1. Home 화면에서 종목 찾기(돋보기 모양) 선택
2. 통합검색에 S&P500(국내 상장 ETF 검색시) 또는 티커명(해외 상장 ETF 검색시) 입력 후 검색
3. 매수하고자 하는 ETF명 클릭
4. 원하는 금액, 수량 입력 후 현금 매수 선택
결론
이상으로, ETF 뜻, ETF 주식 차이, 장점 단점, 종류 및 추천, 투자 방법 등 ETF의 모든 것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ETF는 Exchang Traded Fund의 약어로 특정 자산 지수를 추종하며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주식과 같이 투자할 수 있는 펀드 상품을 의미합니다.
ETF는 분산 투자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변동성 및 상장폐지 가능성 낮으나, 펀드 상품이기에 투자자의 자유도가 낮고, 운용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이 개별 주식 투자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국내 상장 ETF는 Brand명+추종 지수+투자 방식 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투자하고자 하는 지수명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해외 상장 ETF는 상품명에 규칙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티커명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ICE 반도체 지수 추종 SOXX ETF 수익률, 수수료, 배당 정보 상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