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수없이 많이 돌려본 백테스트 중 가장 성과가 높았던 퀀트 투자 전략 한가지를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이름은 미국 소형주 퀀트 GP/A(매출총이익/자산총계) 전략이구요. CAGR(연평균 수익률)은 무려 79.7%, MDD는 -36.0% 수준입니다.
해당 전략은 미국 소형주 중 GP/A, EV/EBITDA, 매출/영업 이익 성장률 등 수치가 우수한 종목을 분기별 리밸런싱하여 만들어낸 전략입니다.
상세 설정 내용, 종목명, 현재까지의 수익률을 공개해드릴 테니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목차
퀀트 투자 전략_미국 소형주 퀀트 GP/A
전략 도출 과정
해당 전략은 제가 정말 많은 백테스트를 돌려보면서 추출해낸 최고의 CAGR, 가장 낮은 MDD를 갖는 퀀트 투자 전략입니다.
한국 시장에도 GP/A를 기반으로하는 전략을 짜서 꽤 우수한 퀀트 투자 전략을 도출했지만, 미국 GP/A 전략이 제가 백테스팅하면서 본 CAGR/MDD 수치 중 가장 우수하였습니다.
아래 엑셀 파일과 같이 각 Factor들을 변경해가며 결과를 정리하였고, 현재까지 제가 백테스트 돌린 결과 중 가장 우수한 전략으로 판단되어 공유드립니다.
이번 전략 도출을 위해 백테스트는 약 500회 이상 돌려본거 같습니다.
미국 GP/A 퀀트 투자 전략 상세 설정 내용
그럼 미국 GP/A 전략 상세 설정 내용을 공유드리겠습니다.
유니버스는 미국, 기본 필터에서 소형주 하위 20%만 제외하고 모두 체크하였습니다.
시가총액은 하위 10%로 설정하였습니다.
더 낮게 가져가면 수익률이 높아지긴 하지만 너무 시가 총액이 낮아지면 거래량이 없어 매수 매도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10%로 고정하고 Test 진행하였습니다.
가치 팩터(Price)에서는 시가총액/PER 체크, 가치 팩터 (EV 관련) EV/EBITDA 체크, 퀄리티 Factor에서 GP/A 체크, 성장성 팩터 영업이익성장률 (YoY) 매출액 성장률 (YoY) 체크, 거래수수료는 제가 쓰는 키움증권 기준 0.14% 정도 나와서 입력, 종목수 10개, 리밸런싱은 분기별, 기간은 2003.1.1~ 현재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사진 참조)
- 유니버스: 미국
- 기본 필터: 금융주 제외, 지주사 제외, 관리종목 제외, 적자기업 제외, 적자기업 제외(년간), 중국기업 제외, PTP 기업 제외
- 시가총액 하위 10%
- 팩터: 시가 총액 (하위), PER (하위), EV/EBITDA (상위), GP/A (상위), 영업이익성장률 (YoY), 매출액 성장률 (YoY), 가중치 1고정
- 동일 비중 결합
- 거래 수수료: 0.14%(증권사마다 상이)
- 리밸런싱 기간: 분기별
- 종목수: 10개
- 환율 반영 체크
- 기간: 2003. 01. 01 ~ 2023. 10. 03
미국 GP/A 퀀트 투자 전략 백테스트 결과
위와 같이 세팅하고, 미국 GP/A 전략 백테스트를 돌려보면 CAGR 79.72%, Cumulative Return(총 수익률)은 18,323,458.51%가 나옵니다.
2003년에 이 전략으로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지금은 1800억이상의 금액이 된다는 뜻입니다.
MDD(Max Drawdown)는 최대 36.01%로 코로나 시기에 가장 많은 손실을 나타냈었네요.
총 3번의 30% 이상 하락이 있었고, 5번의 20% 이상 하락이 있었습니다.
해당 전략으로 투자시 20~30% 이상 손실이 날 수 있다는 각오를 하고 투자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퀀트 투자는 백테스팅을 통해 미리 MDD를 추론해볼 수 있어서 투자시 손실을 맞더라도 멘탈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미국 GP/A 퀀트 투자 전략 종목 및 투자 수익률 공개(2023. 10. 3 기준)
과거의 결과(백테스트)가 미래에 똑같이 나타난다는 보장은 없지만, 과거가 재현된다면 단기간에 큰 수익률로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투자 전략이기에, 저는 500만원이라는 소액으로 투자 중에 있습니다.
이 전략은 4월 15일에 시작하여 3개월 단위로 리밸런싱 중입니다.
7월 15일에 1차 리밸런싱을 하였고, 10월 15일에 2차 리밸런싱 진행 예정입니다.
주기적으로 리밸런싱 종목 및 투자 수익률을 본 블로그에 공개할 예정이오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소액으로 한번 도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현재 보유 종목명 및 수익률
- 프로파이어에너지 (티커명: PFIE), 수익률 +110.81%
- 벨 퓨즈 (티커명: BELFA), 수익률 +29.26%
- 케이엘엑스 에너지 서비시스 홀딩스 (티커명: KLXE), 수익률 +1.71%
- 패트리엇 트랜스포테이션 홀딩 (티커명: PATI), 수익률 -3.19%
- 실버선 테크놀로지 (티커명: SSNT), 수익률 -5.63%
- 서지페이스 (티커명: SURG), 수익률 -10.98%
- 옵티컬 케이블 (티커명: OCC), 수익률 -14.45%
- 트랜스액트 테크놀로지스 (티커명: TACT), 수익률 -24.10%
- 픽시스 탱커스 (티커명: PXS), 수익률 -26.18%
- 렌드웨이 (티커명: LDWY), 수익률 -31.66
2023년 4월 투입 금액: 500만원, 현재 평가 금액: 5,372,171원, 총 수익률: +7.4%
아직까지는 운이 좋게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 중입니다.
저는 이 금액이 반토막이 나더라도 지속 홀딩해볼 생각입니다!
결론
이상으로, 제가 도출해낸 최고의 퀀트 투자 전략인 미국 소형주 퀀트 GP/A 전략을 공유드렸습니다.
CAGR 약 80%의 수익률을 나타내는 전략으로 이 전략보다 우수한 전략을 앞으로 백테스팅을 진행하면서 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향후, 지속 해당 전략 투자에 대한 수익률 공개, 분기별 리밸런싱 종목을 공유드릴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퀀트 투자 뜻과 투자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너무 좋은 아이디어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위 전략에서 마켓 타이밍 EMA20, 60, 120 테스트 해보셧나요
궁금해서 방금 돌려봤는데 마켓 타이밍 설정 안하는 것이 결과가 더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지금은 수익률이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ㅎㅎ
현재 1년 5개월 진행했고, 평가손익 9498110원으로 수익률 +90% 수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