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암호화폐 비트 알트코인 투자시 꼭 알아야할 코인 섹터 종류 및 코인 섹터별 대장주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인은 주식과 유사하게 각 종목별로 속해있는 섹터가 있으며, 보통 코인 상승기에는 모든 섹터가 동시에 상승하는 것이 아닌, 각 섹터별 순환 상승이 옵니다.
우리는 어떤 섹터가 우선적인 상승이 올지 알 수 없기에 각 섹터별 대장주에 분산투자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 가장 리스크가 적은 투자법이 될 것입니다.
본 글에서는 코인 섹터 종류, 특징, 섹터별 대장주 TOP5를 정리할 예정이오니, 향후 코인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아래 링크를 통해 바이낸스 가입을 진행하시고, 14일 이내 50 달러 이상 입금하시면 100달러 거래 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바이낸스 가입 및 입금 방법은 관련 포스팅(바이낸스 가입, 입금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참고 부탁드립니다.
목차
1. 코인 섹터 종류
코인 섹터 종류는 거래소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분류하기에, 그 종류와 종목 범위가 모두 상이합니다.
그렇기에, 본 글에서는 국내 투자자분들께 가장 적합한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 UBCI(UpBit Crypto Index)에서 제공하는 섹터를 기준으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업비트 UBCI에서는 2024년, 업비트서 지원되는 200개의 가상자산을 대분류 5개, 중분류 15개, 소분류 31개로 분류하였으며, 각 섹터별 인덱스를 구성하여 인덱스별 성과 추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코인 섹터 종류별 분류 체계는 아래 표 및 그림과 같으며, 각 인덱스별 성과 및 종목 상세 정보는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대분류(5) | 중분류(15) | 소분류(31) |
인프라 | 지급결제 인프라 | 지급결제 인프라 |
네트워크 인프라 | 상호운용성/브릿지,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물류 | |
디앱 인프라 | 오라클, 보안 | |
유저 인프라 | DID, 의료, 월렛/메시징 | |
DePIN | AI, 데이터 인프라, 스토리지, IoT | |
스마트 컨트렉트 플랫폼 | 모놀리식 블록체인 | 모놀리식 블록체인 |
모듈러 블록체인 | 모듈러 블록체인 | |
디파이 | 스테이블 코인 |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 |
교환 | DEX/애그리게이터 | |
예치 | 렌딩,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 합성자산, RWA | |
문화/엔터테인먼트 | 가상세계 | 메타버스, NFT/게임 |
콘텐츠 | 미디어/스트리밍, 광고 교육/기타 콘텐츠 | |
커뮤니티 | 소셜/DAO, 크라우드펀딩 | |
팬토큰 | 스포츠 | |
밈 코인 | 밈 코인 | 밈 코인 |
2. 코인 섹터별 대장주 및 특징 정리
각 코인 섹터별 대장주 및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본 글에서는, 소분류까지 정리하기에는 갯수가 너무 많기에 대분류 5개 및 중분류 15개 섹터까지만 정리하겠습니다.
1) 인프라
인프라 섹터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루는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섹터입니다.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토대로 편리한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인프라 섹터 대장주: 비트코인(BTC), 리플(XRP), 스텔라루멘(XLM), 체인링크(LINK), 비트코인캐시(BCH)
(1) 지급결제 인프라
지급결제 인프라 섹터는 금융 거래 및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반이거나, 지급 결제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코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지급결제 인프라 섹터 대장주: 비트코인(BTC), 리플(XRP), 스텔라루멘(XLM), 비트코인캐시(BCH), 비트코인에스브이(BCH)
(2) 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 인프라는 메인넷 블록체인이 사용하는 인프라로, 블록체인 간 연결을 위한 기본 인프라 환경 제공 또는 기업의 블록체인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코인 섹터입니다.
- 네트워크 인프라 섹터 대장주: 헤데라(HBAR), 웜홀(W), 엑셀라(AXL), 레이어제로(ZRO), 제타체인(ZETA)
(3) 디앱 인프라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 작동 앱)에서 주로 사용하는 인프라로 디앱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반 제공 코인 섹터입니다.
분산된 환경에서의 원활한 앱 개발 및 운영을 지원, 디앱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킵니다.
- 디앱 인프라 섹터 대장주: 체인링크(LINK), 피스네트워크(PYTH), 에이피아이쓰리(API3)
(4) 유저 인프라
다양한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지원하여 블록체인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인 섹터입니다.
- 유저 인프라 섹터 대장주: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 세이프(SAFE), 스페이스아이디(ID), 마스크네트워크(MASK), 스테이터네트워크토큰(SNT)
(5) DePIN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 탈중앙화 네크워크)에서 사용되는 코인 섹터입니다.
DePIN은 기존 중앙화된 인프라 네트워크를 각 개인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로 전환하고자 하며, 해당 과정에서 개인이 인프라 또는 리소스를 공유, 임대하면 코인으로 보상으로 받습니다.
- DePIN 섹터 대장주: 렌더토큰(RENDER), 파일코인(FIL), 더그래프(GRT), 쎄타토큰(THETA), 비트토렌트(BTT)
출처: UBCI
2)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체결하는 계약으로, 계약 당사자 간 거래 내용을 코드로 기록 후 블록체인에 올려놓으면, 계약 조건 충족시 계약을 자동으로 이행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섹터 코인들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섹터 대장주: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에이다(ADA), 아발란체(AVAX), 트론(TRX)
(1) 모놀리식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코인 중 합의/연산/저장 등 주요 기능을 하나의 프로토콜에서 모두 진행하는 코인 섹터입니다.
모든 기능이 단일 프로토콜에서 진행되기에 쉽고 단순한 운영이 가능하나, 보안성 및 탈중앙성이 상대적 취약합니다.
- 모놀리식 블록체인 섹터 대장주: 솔라나(SOL), 에이다(ADA), 아발란체(AVAX), 트론(TRX), 수이(SUI)
(2) 모듈러 블록체인
모듈러 블록체인은 모놀리식 블록체인과 달리, 각 주요 기능이 모듈화되어 있는 코인 섹터입니다.
각 기능별 개발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안성, 탈중앙성 부분에서 우수하나, 사용 용이성은 다소 떨어집니다.
- 모듈러 블록체인 섹터 대장주: 이더리움(ETH), 폴카닷(DOT), 폴리곤에코시스템토큰(POL), 아비트럼(ARB), 스택스(STX)
출처: UBCI
3) 디파이
디파이(DeFi, Decentralized Finance)는 탈중앙화된 금융이라는 뜻으로, 별도의 관리자 없이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사용되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디파이 섹터는 이 디파이 금융 서비스에서 활용되는 코인들을 포함합니다.
- 디파이 섹터 대장주: 테더(USDT), 유에스디코인(USDC), 유니스왑(UNI), 유에스디에스(USDS), 에이브(AAVE)
(1) 스테이블 코인
법정 화폐 또는 유형 자산을 담보물로 하여 코인의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한 코인 섹터입니다.
- 스테이블 코인 섹터 대장주: 테더(USDT), 유에스디코인(USDC), 유에스디에스(USDS), 트루USD(TUSD), 팍스달러(USDP)
(2) 교환
교환 섹터 코인은 디지털 자산 간 거래를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간 디지털 자산 교환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합니다.
- 교환 섹터 대장주: 유니스왑(UNI), 레이디움(RAY), 주피터(JUP), 1인치네트워크(1INCH), 제로엑스(ZRX)
(3) 예치
예치 섹터 코인은 일정 기간 동안 코인 예치시 이자를 얻는 등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예치 섹터 대장주: 에이브(AAVE), 온도파이낸스(ONDO), 펜들(PENDLE), 신세틱스(SNX), 컴파운드(COMP)
출처: UBCI
4) 문화/엔터테인먼트
문화/엔터테인먼트 섹터 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콘텐츠의 소유권을 창작자에게 돌려주는데 활용됩니다.
창작자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여, 소유권을 투명하게 기록할 수 있으며, 코인을 이용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문화/엔터테인먼트 섹터 대장주: 이뮤터블엑스(IMX), 샌드박스(SAND), 디센트럴랜드(MANA), 빔(BEAM), 엑시인피니티(AXS)
(1) 가상세계
가상세계 섹터 코인은 메타버스 및 게임 등에서의 소셜, 경제, 창작 활동에 사용되는 코인들로 구성됩니다.
사용자들은 가상세계에서 고유한 디지털 자산을 창조, 거래할 수 있어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 가상세계 섹터 대장주: 이뮤터블엑스(IMX), 샌드박스(SAND), 디센트럴랜드(MANA), 엑시인피티니(AXS), 에이프코인(APE)
(2) 콘텐츠
콘텐츠 섹터는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및 광고 플랫폼 서비스에 활용되는 코인 섹터입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광고를 전달하고, 광고주와 소비자를 콘텐츠 섹터 코인을 통해 연결합니다.
- 콘텐츠 섹터 대장주: 베이직어텐션토큰(BAI), 아이큐(IQ), 밀크(MLK), 스톰엑스(STMX), 무비블록(MBL)
(3) 커뮤니티
커뮤니티 섹터는 개인 간 상호작용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커뮤니티에서 활용되는 코인 섹터입니다.
해당 섹터 코인은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 촉진 및 커뮤니티 발전을 지원하여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커뮤니티 섹터 대장주: 그래비티(G), 사이버(CYBER), 스팀(STEEM), 유엑스링크(UXLINK), 래드웍스(RAD)
(4) 팬토큰
팬토큰 섹터 코인은 스포츠, 인물 등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모인 팬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등 활동에 사용되는 코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팬토큰 섹터 대장주: 칠리즈(CHZ), 파리생제르맹(PSG), FC바르셀로나(BAR), 맨체스터시티(CITY), 유벤투스(JUV)
출처: UBCI
5) 밈 코인
밈(MEME)은 한 집단에게서 다른 집단으로 생각이 전달될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를 총칭하는 의미로, 요즘은 인터넷에 유행하는 영상이나 사진 등을 인터넷 밈 이라고 합니다.
밈 코인은 이러한 인터넷이나 소셜 미디어 내 밈이나 농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코인입니다.
그렇기에, 밈 코인은 어떠한 목적이나 용도가 없으며, 단순 재미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 밈 코인 섹터 대장주: 도지코인(DOGE), 시바이누(SHIB), 페페(PEPE), 본크(BONK), 도그위프햇(WIF)
출처: DIGITAL ASSET
앞서 소개드린 각 코인 섹터별 대장주를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코인 섹터 종류 | 기능 | 대장주 |
인프라 |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지원 | BTC, XRP, XLM, LINK, BCH |
스마트 컨트랙트 | 블록체인 기반 계약 기능 제공 | ETH, SOL, ADA, AVAX, TRX |
디파이 |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활용 | USDT, USDC, UNI, USDS, AAVE |
문화/엔터테인먼트 | 콘텐츠 소유권 기록 창작자 보상에 활용 | IMX, SAND, MANA, BEAM, AXS |
밈 코인 | 없음 | DOGE, SHIB, PEPE, BONK, WIF |
3. 결론
이상으로, 암호화폐 코인 섹터 종류 및 코인 섹터별 대장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 인덱스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코인 섹터는 인프라, 스마트 컨트랙트 디파이, 문화/엔터테인먼트, 밈코인 이렇게 크게 5가지로 나눠집니다.
인프라 섹터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장주는 비트코인, 리플 등이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섹터는 블록체인 기반 계약 기능 제공하며, 이더리움, 솔라나 등이 있습니다.
디파이 섹터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활용되는 코인 섹터로 테더, 유에스디코인 등이 있습니다.
문화/엔터테인먼트 섹터는 콘텐츠 소유권 기록 및 창작자 보상에 활용되는 코인으로 구성되며, 이뮤터블엑스, 샌드박스 등이 있습니다.
밈 섹터는 단순 재미로 만들어진 코인들로 구성되며, 도지, 시바이누 등이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