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금 저축 계좌 및 IRP 계좌를 이용한 연금 세액 공제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일반 계좌에서 해외 상장 ETF인 SCHD, QQQ 등 투자시, 높은 수준의 세금(양도소득세, 250만원 초과분 대상 22%)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연금 계좌인 개인 연금 저축 계좌와 IRP를 활용한다면, 연 최대 148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으면서 당장 세금을 한푼 내지않고 장기투자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개인 연금 계좌 및 IRP를 이용한 연금 세액 공제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릴 예정이오니, 투자에 참고하시어 절세 혜택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 연 수익률 50% 이상 나만의 퀀트 투자 전략 만들기에 도전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퀀터스) 참고 부탁드립니다(퀀트 투자 뜻, 하는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목차
연금 세액 공제
연금 계좌를 이용한 최대 세액 공제(900만원 한도)를 받기 위해서는 개인 연금 저축과 IRP라는 계좌가 필요합니다.
두 계좌 모두 증권사 어플을 통해 개설 가능하며, 최대 세액 공제 받는 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차근차근 따라가보시길 바랍니다.
연금 저축 계좌 및 IRP란?
연금 저축 계좌와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 퇴직 연금)는 국민의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준비하기 위한 노후 연금 관련 금융 상품입니다.
두가지 상품 모두 국가에서 국민의 노후 생활 준비를 장려하기 위한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만 55세 이후 인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두가지 계좌가 연금 수령을 목적을 한다는 점에서 유사해보이나 일부 차이점이 있으니, 이어지는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연금 저축 계좌, IRP 공통점, 장점
1) 연금 세액 공제(세금을 차감해 주는 것)
연금 저축 계좌와 IRP에 돈을 입금하면 매년 연금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 급여가 5,500만원 이하라면 16.5%, 5,500만원 초과라면 13.2%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3년 이후 변경된 연금 세액 공제 한도인 900만원을 채워서 입금한다면, 최대 148만원을 연말 정산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 저축 계좌가 입출금이 자유롭기 때문에 최대치인 600만원, 나머지 300만원을 IRP에 저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과세이연
과세이연이란 세금 내는 시점을 연기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일반 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 ETF(EX. Sol 다우존스 미국배당 다우존스: 한국판 SCHD)를 투자하게 되면, 매매 차익 및 배당금에 대해 15.4%, 차익과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게 되면 종합과세 기준으로 과세하게 됩니다.
해외 상장 해외 ETF(EX. SCHD, QQQ 등)을 투자하게 되면 시세 차익의 22%(250만원까지 공제), 배당금에 대해 15.4% 를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하지만, 연금저축 계좌/IRP에서 투자를 진행할 경우, 연금 수령 전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연금 수령시 5.5%~3.3%의 연금 소득세만 납부하면 됩니다.
다만, 연금 소득이 연간 1,200만원이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 점은 유의해야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연금저축 + IRP 연 납입한도: 1,800만원
- 최소 5년 이상 납부 필요,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 가능
- 연금 소득세: 5.5%~3.3%
- 만 55~70세 수령시 5.5%, 만 70세 이후 수령시 4.4%, 만 80세 이후 수령시 3.3%)
- 중도 인출시 기타 소득세 16.5% 과세
- 연금 수령 금액이 연 1,200만원 이상일 경우,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 연금 수령 한도: {연금계좌의 평가액/(11 – 연금 수령 연차)} – 1.2
- 연금 계좌 평가액이 1억원이라면 만 55세에 수령가능한 연금은 [1억원 / 11-1] * 1.2 = 1200만원이 됩니다.
- 연금 수령 연차가 11년 이상이 되면 연금 수령 한도가 없어짐
연금 저축, IRP 차이점
연금 저축과 IRP는 가입대상, 안전자산 설정, 중도 인출 가능 여부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 가입대상: 연금저축은 누구나 가입 가능, IRP는 소득 있는 사람만 가입 가능
- 안전자산 설정: 연금저축은 100% 위험자산 투자 가능, IRP는 30%는 안전자산 설정 필수
- 위험자산: 주식과 같은 변동이 높은 자산(단,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은 투자 불가)
- 안전자산: 채권, 예금, 현금 등 변동성이 낮은 자산
- 연금저축은 중도인출 가능, IRP는 계좌 전체를 해지해야 인출 가능
따라서, 연금 계좌에 900만원을 채워서 투자한다면, 투자의 자유도가 높은 연금 저축 600만원(연금 저축 세액 공제 최대 금액), IRP 300만원을 맞춰서 입금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금 저축, IRP 개설 방법
연금 저축 계좌와 IRP는 모든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합니다.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증권사 어플에서 계좌 개설 메뉴로 들어가 연금저축 계좌, IRP를 각각 개설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각 증권사 어플에서 계좌개설로 들어가면 하단에 IRP와 연금 저축 계좌를 쉽게 찾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연금 저축, IRP 활용법
연금 저축, IRP를 개설하셨다면, 원하는 금액을 각 계좌에 입금해주시고, 연금 저축 계좌는 연금 저축 매매, IRP는 퇴직연금 매매 메뉴를 찾아서 원하는 상품을 투자하시면 됩니다!
연금 저축과 IRP는 투자 가능 상품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IRP가 위험 자산 비중이 70%이지만, 투자 가능 상품은 더 많습니다.
연금 저축과 IRP 투자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투자 항목 | 연금 저축 | IRP |
정기 예금 | X | O |
채권 | X | O |
펀드 | O | O |
ETF | O | O |
리츠 | O | O |
파생결합증권 (ELB 등) | X | O |
위험자산 구성 비중 | 100% | 70% |
연금 저축 및 IRP 30년 저축시 Total Return 계산
연간 연금 세액 공제 한도인 900만원을 30년 간 저축하였을 때의 Total Return을 계산해보았습니다. 매년 10%의 투자 수익(S&P 500 30년 평균 연간 수익률), 돌려받은 연금 세액 공제 비용 재투자를 가정하고 시뮬레이션하였습니다.
그 결과, 약 18.7억원이라는 최종 금액이 산출되었는데요. 충분히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수준의 금액인 듯 합니다.
투자기간(년) | 입금액 | 수익금액 | 연금 세액공제액 | 합계 |
1 | 900 | 90 | 148 | 1138 |
2 | 2038 | 204 | 148 | 2390 |
3 | 3290 | 329 | 148 | 3767 |
4 | 4667 | 467 | 148 | 5281 |
5 | 6181 | 618 | 148 | 6948 |
6 | 7848 | 785 | 148 | 8780 |
7 | 9680 | 968 | 148 | 10796 |
8 | 11696 | 1170 | 148 | 13014 |
9 | 13914 | 1391 | 148 | 15453 |
10 | 16353 | 1635 | 148 | 18137 |
11 | 19037 | 1904 | 148 | 21088 |
12 | 21988 | 2199 | 148 | 24335 |
13 | 25235 | 2524 | 148 | 27907 |
14 | 28807 | 2881 | 148 | 31836 |
15 | 32736 | 3274 | 148 | 36157 |
16 | 37057 | 3706 | 148 | 40911 |
17 | 41811 | 4181 | 148 | 46140 |
18 | 47040 | 4704 | 148 | 51892 |
19 | 52792 | 5279 | 148 | 58219 |
20 | 59119 | 5912 | 148 | 65179 |
21 | 66079 | 6608 | 148 | 72835 |
22 | 73735 | 7373 | 148 | 81256 |
23 | 82156 | 8216 | 148 | 90520 |
24 | 91420 | 9142 | 148 | 100710 |
25 | 101610 | 10161 | 148 | 111919 |
26 | 112819 | 11282 | 148 | 124249 |
27 | 125149 | 12515 | 148 | 137812 |
28 | 138712 | 13871 | 148 | 152731 |
29 | 153631 | 15363 | 148 | 169142 |
30 | 170042 | 17004 | 148 | 187194 |
결론
이상으로, 연금 저축 계좌, IRP를 이용한 연금 세액 공제 900만원 한도로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연금 저축 계좌와 IRP는 모두 국민의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위해 만들어진 금융 상품으로, 국가에서 높은 수준의 세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과 IRP를 모두 사용시 연 최대 900만원까지 연금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돌려 받는 세금은 최대 148만원입니다.
적지 않은 금액인만큼 매년 최대 한도 저축/투자를 통해 연금 세액 공제 혜택 꼭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