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 경기 침체의 주요 지표로 참고되는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의미, 발생 이유, 사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현재 장단기금리역전 폭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과거 장단기금리역전 해소시에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침체가 왔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미국 장단기금리역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 사례를 분석하여 금년도 역전 해소 후에 과거와 같이 침체에 진입할 것인지에 대한 제 의견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연 수익률 50% 이상 나만의 주식/코인 퀀트 투자 전략 만들기에 도전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퀀터스) 참고 부탁드립니다(퀀트 투자 뜻, 하는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목차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의미
먼저, 장단기금리역전에 대해 이해할려면 채권 및 국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채권이란 정부, 회사 등에서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쉽게 말해, 돈을 빌리면서 언제까지 얼마의 원금과 이자를 갚겠다는 약속을 기록하는 종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채는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미국 국채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하며, 한국 국채는 기획재정부에서 발행합니다.
미국 장단기금리역전은 미국의 만기가 짧은 단기 국채 금리가 만기가 긴 장기 국채 금리보다 높은 현상을 의미합니다.
미국 국채 뜻(+ 미국 국채 만기별 ETF 종류) 상세히 알아보기
일반적으로, 만기가 3년 이하 국채는 단기 채권, 만기 10년 이상 국채는 장기 국채라고 하기 때문에 만기 3년 이하 단기 국채의 금리가 10년 이상 국채 금리보다 높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2024년 7월 기준 현재 미국 10년물 금리 4.2250, 2년물 금리가 4.5230으로 2년물 금리가 10년물보다 약 0.3% 높은 상황으로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출처: NAVER
출처: NAVER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이유
일반적으로 돈을 빌리는 기간이 길어지면 돈의 가치 하락(인플레이션), 국가 부도 등 위험성을 감안하여 높은 금리를 더 받는 것(기간 프리미엄)이 합당하기 때문에, 장단기금리역전은 상당히 비정상적인 상황입니다.
- 기간 프리미엄: 돈을 빌려주는 기간이 길어짐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대가로 더 높은 금리를 받는 것
그럼 왜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발생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연준의 기준금리 상향에 따른 단기 국채 금리의 급격한 상승, 두번째는 향후 경기 악화 및 금리 인하 예상으로 인한 장기 국채 금리의 하락입니다.
결국, 두가지 상황을 종합해보면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연준 기준 금리 뜻 인상 인하 효과 상세히 알아보기
기준 금리 상승에 따른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 해소되는 일반적인 사이클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플레이션 발생 – 미국 연준 기준 금리 인상 – 단기 국채 금리 상승 – 장단기금리역전 발생 – 경기 악화 – 장기 국채 하락 – 기준 금리 하향 – 단기 국채 금리 하락 – 장단기금리역전 해소
그렇기 때문에, 미국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했다는 것은 미국 연준이 급격하게 기준 금리를 상향했다는 의미이며, 기준 금리의 급격한 상향시 시중 유동성이 큰 폭 감소하기 때문에, 과거 장단기금리역전 발생 이후 대부분 침체가 찾아왔었습니다.
추가로,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하면 단기 자금(단기 금리 영향)을 빌려와서 장기로 대출(장기 금리 영향)해주는 형태의 은행들의 영업 구조상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어 시중 대출 규모가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유동성이 더 급격히 마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 경기 침체: 실질 GDP 증가율이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때를 의미(명목 실질 GDP 뜻 상세히 알아보기)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사례
과거,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사례를 살펴보고, 2024년 발생한 장단기금리역전 이후에도 침체가 어김없이 찾아올지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최근 50년 간 발생한 미국의 경기침체는 총 6번으로 모든 경기침체 전 10년물-3개월물 또는 10년물-2년물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2024년 발생하고 있는 미국 장단기금리역전은 10년물-2년물과 10년물-3개월물 모두 발생되었으며, 10년물-2년물 기준 2022년 7월 최초 발생되어, 현재 약 24개월 간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역사상 가장 길고, 깊은 수준의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으로 보입니다.
과거 사례만 놓고 본다면, 10년물-2년물과 10년물-3개월물 장단기금리역전이 모두 발생하였을 때 무조건 경기 침체가 찾아왔다는 점, 역대 최대 긴 기간동안 장단기금리역전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봤을 때 저는 이번 사이클에도 높은 확률로 침체가 찾아올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상에 100%라는 것은 없기 때문에 저는 당분간 주식의 비중을 줄이고, 채권이나 금 등 안전자산으로의 일부 자산 이동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투자자분들께서도 과거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했을 때 높은 확률로 침체가 찾아왔다는 점을 인지하시고 대응하시길 제안드립니다.
최신 미국 장단기금리차 및 역전 현황은 아래 링크(FRED)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시기 | 경기침체 진입 | 소요 기간 (개월) | 침체 지속 기간 (개월) | 원인 |
1978년 8월 | 1980년 1월 | 17 | 6 | 오일쇼크 |
1980년 9월 | 1981년 7월 | 10 | 16 | 인플레이션 |
1989년 8월 | 1990년 7월 | 11 | 8 | 걸프전 |
2000년 2월 | 2001년 3월 | 13 | 8 | 닷컴버블 9.11 테러 |
2006년 6월 | 2007년 12월 | 18 | 18 | 서브프라임 |
2019년 8월 | 2020년 2월 | 6 | 2 | 코로나19 |
미국 국채 10년물 – 3개월물 금리차(1982년~)
결론
이상으로, 미국 장단기금리역전 의미, 이유, 사례를 통한 침체 발생 가능성을 전망해보았습니다.
미국 장단기금리역전이란 미국 단기 국채의 금리가 장기 국채 금리보다 높은 현상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미국 연준의 급격한 기준금리 상향에 따른 단기 국채 금리 상향 및 경기 악화/장기 국채 금리 하락에 의해 발생합니다.
최근 50년 동안 미국 경기침체는 6회 발생했으며, 모든 경기침체 전에 10년물-3개월물 또는 10년물-2년물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2024년 장단기금리역전 현상은 2022년 7월 발생하여 최장 기간 유지하고 있으며, 10년물-2년물과 10년물-3개월물 모두 장단기금리역전이 발생하였기에, 저는 역전 해소 후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100%는 없기 때문에, 이 글을 보시는 모든 투자자께서는 향후 침체가 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유연한 대응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S&P500 지수 추종 SPY, 나스닥 100 지수 추종 QQQ 장기 투자 최적 비율 확인하기
미국 침체 지표 실업률, 비농업고용지수 뜻 발표일 상세히 알아보기
미국 금 ETF 5종 GLD, GLDM, IAU, IAUM, SGOL ETF 배당금, 수익률, 수수료 상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