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레버리지 위험성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레버리지 투자를 하면 가만히 있어도 돈이 녹는다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 SOXL, TQQQ 장기투자 글에서 실제 과거 SOXL, TQQQ와 같은 3배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했다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꼭 돈이 녹는건 아니다 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SOXL 장기투자 수익률 알아보기 TQQQ 장기투자 수익률 알아보기
하지만, 이러한 과거 투자 결과는 SOXL의 기초자산인 SOXX, TQQQ의 기초자산인 QQQ가 장기 우상향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미래에는 기초자산들이 어떻게 움직일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레버리지 위험성에 대해 알고 투자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 연 수익률 50% 이상 나만의 주식/코인 퀀트 투자 전략 만들기에 도전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퀀터스) 참고 부탁드립니다(퀀트 투자 뜻, 하는 방법 상세히 알아보기).
※ 아래 링크(퀀터스) 접속 후, 이용권 구매시 추천인 코드에 'SIMPLE'을 입력하시면 아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구독권 3개월권 구매시 사용 기간 1주일 연장
- 구독권/실전투자권/패키지 이용권 1년권 구매시 사용 시간 1개월 연장
목차
레버리지(Leverage)란?
레버리지는 지렛대의 힘이라는 뜻으로, 레버리지 투자는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게 자기 이익률을 높인다 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해, 돈을 빌려서 투자하여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투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레버리지 ETF는 투자된 돈으로 주식을 매수한 후, 이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려 투자 규모를 2배 3배 늘리는 투자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버리지 ETF는 빌린 돈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기에 운용수수료가 높고, 등락도 기초자산의 2배 3배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레버지지 투자에서 기초자산의 가치가 어떨 때 레버리지 위험성이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레버리지 위험성: 횡보 구간
레버리지 상품 투자시 주의해야 할 첫번째 구간은 기초자산의 횡보 구간입니다.
기초자산의 가치가 위아래로 움직이다가, 원래 가격으로 돌아오면 레버리지 상품은 손실을 보게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만약 TQQQ의 기초 자산인 QQQ가 1주당 100불이었는데, 110불이 되었다가 다시 100불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기초 자산의 QQQ는 수익도 손실도 없는 상황이죠. 하지만, TQQQ는 신기하게도 손실이 나게됩니다.
왜냐하면, 레버리지 상품은 퍼센티지로 수익 손실이 나기 때문이죠.
위 상황에서, TQQQ가 1주당 똑같이 100불이었다면, QQQ가 10% 수익으로 110불이 될 때 TQQQ는 30% 올라 130불이 되겠죠.
다시 QQQ가 100불로 돌아올 때는 9.1% 감소한 것이기 때문에 TQQQ는 130불에서 그 3배인 27.3%가 하락하게 되어, 최종 TQQQ의 가격은 94.51불이 됩니다.
QQQ의 수익률은 0%이지만, TQQQ의 수익률은 -5.49%가 됩니다.
동일 과정을 4번 반복해보겠습니다.
4번 동안 기초자산이 등락을 반복해서 제자리로 돌아오면 3배 레버리지 상품은 -20.2%의 손실을 입게됩니다.
이러한 손실 + 높은 운용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횡보 구간에서는 레버리지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기초자산 가격 | 100 | 110 | 100 | 110 | 100 | 110 | 100 | 110 | 100 |
기초자산 수익률 | 0% | +10% | 0% | +10% | 0% | +10% | 0% | +10% | 0% |
3배 레버리지 가격 | 100 | 130 | 94.5 | 122.8 | 89.3 | 116.1 | 84.4 | 109.7 | 79.8 |
3배 레버리지 수익률 | 0% | +30% | -5.1% | +22.8% | -10.7% | +16.1% | -15.6% | +9.7% | -20.2% |
레버리지 위험성: 하락 구간
레버리지 상품의 최고 위험 구간은 당연하게도 하락 구간입니다.
기초 자산의 가격이 1% 하락할 때 3배 레버리지 상품은 3% 하락하며, 하락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게 되면 음의 복리 효과가 발생하여 자산이 순식간에 증발해버립니다.
횡보 구간과 동일하게 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초자산이 등락을 거치며, -20% 하락하였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기초자산은 -20% 정도 손실률이지만, 3배 레버리지 상품은 -58.4%나 손실을 보았습니다.
기초자산 가격 | 100 | 90 | 95 | 85 | 90 | 80 |
기초자산 수익률 | 0% | -10% | -5% | -15% | -10% | -20% |
3배 레버리지 가격 | 100 | 70 | 81.5 | 55.8 | 62.3 | 41.6 |
3배 레버리지 수익률 | 0% | -30% | -18.5% | -44.2% | -37.7% | -58.4% |
실제 사례를 확인해보면, 나스닥 100 지수가 지속 하락하였던 ’22년에 QQQ는 -33.07%, TQQQ는 -79.98%로 ’22년 초 TQQQ를 투자한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Portfolio Visualizer
레버리지 투자 기회: 상승 구간
레버리지 위험성이 높은 횡보, 하락 구간을 피해 상승 구간에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한다면 하락 구간과 반대로 양의 복리 효과로 매우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등락을 거쳐, +20% 수익률이 발생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기초자산의 가치가 100에서 120으로 상승할 때, 3배 레버리지 상품의 가격은 159.8로 +59.8%로 상대적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기초자산 가격 | 100 | 110 | 105 | 115 | 110 | 120 |
기초자산 수익률 | 0% | +10% | +5% | +15% | +10% | +20% |
3배 레버리지 가격 | 100 | 130 | 112.5 | 144.6 | 125.5 | 159.8 |
3배 레버리지 수익률 | 0% | +30% | +12.5% | +44.6% | +25.5 | +59.8% |
나스닥 100이 지속 우상향하였던 2013년부터 약 10년 간 TQQQ를 투자하였다면, 현재 수익률은 +3968%의 엄청난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반면, 기초자산인 QQQ의 수익률은 +497%에 불과하였습니다.
출처: PORTFOLIO VISUALIZER
결론
이상으로, 레버리지 위험성과 기회 구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레버리지 상품 투자시, 횡보 구간에서는 서서히 돈이 녹고 하락 구간에서는 음의 복리 효과로 급격하게 투자금이 증발하였습니다.
반면, 상승 구간에서는 양의 복리 효과로 매우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S&P500, 나스닥 지수와 같이 장기간 상승이 기대되는 자산에 대해서는 레버리지 장기 투자도 나쁘지 않은 투자법이라고 판단되며, 그렇지 않은 자산에 대한 레버리지 상품은 단기 투자로 접근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이상으로 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